javascript
-
객체 Objectjavascript 2023. 3. 28. 19:57
* 객체 Object - 객체는 {}로 작성 - 키 : 값 으로 구성된 프로퍼티 - 각각의 프로퍼티는 ,로 구분함 const superman = { name : 'clack', age : 30, } * 객체 접근 추가 - . 점을 사용 - [ ] 괄호 사용 const superman = { name : 'clack', age : 30, } /*접근*/ superman.name//clark superman['age']//30 console.log(superman)//Object{name: 'clack', age: 30} 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/*추가*/ su..
-
함수 선언문, 함수 표현식, 화살표 함수javascript 2023. 3. 28. 18:56
* 함수 선언문 - 어디서든 호출 가능 function sayHello(){ console.log("Hello"); } sayHello(); //또 다른 예시 sayHello();//위에서도 호출 가능함 function sayHello(){ console.log("Hello"); } //코드 실행 가능 이유 : 자바스크립트 내부 알고리즘 때문에, 자바스크립트는 실행전 초기화 단계에서 코드의 모든 함수선언문을 찾아서 생성해놓음, 즉 저 함수를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짐 : 호이스팅 * 함수 표현식 - 자바스크립트가 한줄씩 읽으면서 실행 - 해당 코드에 도달하면 생성 - 그래서 그 이후에만 사용 가능 = 호출 위치를 위로 바꾸면 실행되지 않음 let sayHello = function(){ console..
-
전역변수, 지역변수javascript 2023. 3. 28. 18:11
* 전역변수 :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변수 * 지역변수 : 함수 내부에서 사용하는 변수 /*지역변수 let은 함수 내부에서 전역변수 let과 동일한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고 서로 간섭 받지 않음*/ let msg = 'welcome'; //console.log(msg);//welcome function sayHello(name){ let msg = "Hello"; console.log(msg + ' ' + name);//Hello Mike } sayHello("Mike");//Hello Mike console.log(msg);//welcome 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.
-
함수 functionjavascript 2023. 3. 28. 17:55
* 내장 함수 : 브라우저가 이미 가지고 있는 함수 = console, alert, confirm, prompt * 함수 function function sayHello(name){ console.log(`Hello, ${name}`); } sayHello(); /* function : 함수 sayHello : 함수명 (name) : 매개변수, 매개변수가 없을 수도 있음, 여러개일 때 ','로 구분할 수 있음 {} : 함수의 실행 코드 sayHello(); : 함수 호출 방법 */ 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/*매개변수가 없는 함수*/ function showErr..
-
반복문javascript 2023. 3. 28. 16:10
* for문 - ;으로 구분하며 세부분으로 나누어짐 - 명확한 횟수가 정해져 있으면 for문 그게 아니면 while문을 사용 - 첫번째 : 초기값으로 반복문을 실행할 때 처음 한번만 실행됨 - 두번째 : 조건으로 반복문이 돌면서 조건을 확인하고 false가 되면 멈춤 = 조건이 false이면 반복문을 빠져나옴 - 세번째 : 코드 실행 후 작업하는 부분으로 반복문이 한번 실행되고 나서 해야하는 작업 - 순서 : 1. 초기값을 지정하고 2. 조건이 true면 3. 반복할 코드(실행할 코드)를 실행하고 4. 코드 실행 후 작업을 진행 for(let i = 0; i < 5; i++){ //반복할 코드, 실행할 코드 } /* 첫번째 : let i = 0; 두번째 : i < 5; 세번째 : i++ */ //----..
-
논리 연산자javascript 2023. 3. 28. 00:11
* || = or - 여러개 중 하나라도 true면 true 반환 - 모든 값이 false일 때만 false 반환 - 첫번째 true를 발견하면 즉시 평가를 멈춤 /*이름이 Lee이거나 성인이면 통과*/ const name = "Jin"; const age = 30; if(name === "Lee" || age > 19){ console.log("통과"); }//통과 * && = and - 모든 값이 true면 true 반환 - 하나라도 false면 false 반환 - 첫번째 false 발견하면 즉시 평가를 멈춤 /*이름이 Jin이고 성인이면 통과*/ const name = "Jin"; const age = 30; if(name === "Jin" && age > 19){ console.log("통과");..
-
조건문javascript 2023. 3. 27. 23:17
* if문 - 괄호 안에 조건을 평가해서 true면 실행 - 괄호 안에 조건은 항상 Boolean형으로 변환되어 판단 if(age > 19){ console.log("환영합니다."); } if(age 19){ console.log("환영합니다."); }else{ console.log("안녕히가세요."); }//안녕히가세요. * else if문 /*19살이면 수능 화이팅 문구 나오게*/ const age === 19; if(age > 19){ console.log("환영합니다."); }else if(age === 19){ console.log("수능 화이팅"); }else{ console.log("안녕히가세요."); }//수능 화이팅
-
비교연산자javascript 2023. 3. 27. 23:01
≤ = = = = == ≠ = != ★ = 1개는 할당을 의미함 ★ == 2개는 같다를 의미 *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면 값은 항상 Boolean형(true, false)로 반환 console.log(10 > 5);//true console.log(10 == 5);//false console.log(10 != 5);//true * ==의 주의사항 const a = 1; const b = '1'; /*숫자형 문자형 비교*/ console.log(a == b);//true /*=== : 일치 연산자 일치 연산자를 사용하면 타입까지 비교함*/ console.log(a === b);//fals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