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웹 접근성에 준수하며 table 만들기css 2023. 6. 27. 17:29반응형
<table> 마크업의 기본 구조
태그
<table> : 표
<tr> : 행
<th> : 열의 제목
<td> : 내용 셀
<thead> : 표의 머리 부분
<tbody> : 표의 본문 부분
<tfoot> 표의 꼬리 부분
<caption> : 표 제목
<colgroup> : 행의 그룹화, 보통 셀의 width 값을 줄 때 사용속성
colspan: 열 합칠 때 사용하는 속성
rowspan: 행 합칠 때 사용하는 속성
scope: th에 들어가는 속성으로 th가 적용되는 범위를 나타내줌
: 웹 접근성을 위해 th 태그에 scope 속성을 넣어야 함
: col, row, colgroup, rowgroup
웹 접근성 준수를 위해 필요한 조건
1. cpation 필수(display: none;을 사용하지 않고 숨기기)
2. th에 scope 작성
3. thead 있으면 작성하기 없으면 넣지 않기
4. tbody 넣기
5. thead 영역에는 td가 올 수 없음
테이블 마크업 시 사용되는 css
border-collapse
: 테이블 테두리를 한줄로 나타냄
border-spacing: 테이블 요소 th td 간의 여백을 설정함, 기본적으로 테이블 셀간에는 여백이 1px씩 들어가 있음
empty-cells: 테이블 내의 빈셀의 테두리와 배경색을 표현할지 안할지 설정함
table-layout(fixed, auto): 표에서 내용을 입력했을 때 width가 지정된 상태에서 콘텐츠 내용이 길어질 때 셀 안에 있는 내용에 따라 너비를 변하게 할지 고정시킬 것인지를 정해주는 속성, 어떤 상황에서도 표 크기를 고정하고 싶다면 table-layout fixed 값 주기
th는 기본적으로 가운데 정렬이 됨
td는 기본적으로 왼쪽 정렬이 됨
vertical-align 속성은 테이블 요소 th td를 수직 방향으로 정렬함 기본적으로 모두 가운데 정렬이 됨
참고
반응형'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able에 border-radius 적용하기(table 테두리 둥글게 만들기) (0) 2023.07.05 css로 화살표, 삼각형 기호 만들기 (0) 2023.07.04 float (0) 2023.06.19 display (0) 2023.06.19 display flex (0) 2023.06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