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javascript 자료형javascript 2023. 3. 27. 20:40반응형
* String = 문자형
- "" 큰따옴표 사용
- '' 작은따옴표 사용
- `` 백틱 사용(백틱은 키보드 ~)
const name1 = "Jin";//""사용 const name2 = 'Jin';//''사용 const name3 = `Jin`;//``사용 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const name = "Jin"; const message = "I'm a boy."; const message2 = 'I\'m a boy.';//''만 사용하고 싶을때 ' 앞에 \를 넣어주면 특수문자로 인식함 const message3 = `My name is ${name}`//``은 문자열 내부에 변수를 사용할 떄 주로 사용 const message4 = `나는 ${30+1}살 입니다.`; console.log(message3);//My name is Jin console.log(message4);//나는 31살 입니다.ㄹ
* Number = 숫자형
const age = 10; const i = 3.14; console.log(2 + 2);//더하기 4 console.log(5 - 1);//빼기 4 console.log(1 * 2);//곱하기 1 console.log(8 / 4);//나누기 2 console.log(6 % 4);//나머지 2 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/*숫자를 0으로 나누면*/ const a = 1/0; console.log(a);//Infinity /*문자열을 숫자로 나누면*/ const name = "Jin"; const b = name/2; console.log(b);//NaN=Not A Number //숫자와 관련된 작업을 할 때 NaN이 아닌지 항상 염두하면서 작업해야 함
const name = "Jin"; const a = "나는"; const b = " 입니다."; const age = 30; /*문자형과 문자형을 더해주면 하나의 문장으로 합쳐줌*/ console.log(a + name + b);//나는 Jin 입니다. /*숫자형 문자형 섞어서 더할 수 있음 > 이럴때 숫자형은 문자형으로 변경됨*/ console.log(a + age + "살" + b);//나는 30살 입니다.
* Boolean = 불린형
const a = true; const b = false; const name = 'Jin'; const age = 10; console.log(name == 'Jin');//true console.log(age > 30);//false
* null과 undefined
- null : 존재하지 않는 값
- undefined : 값이 할당 안됨
let name; console.log(name);//undefined let age = null;//age은 존재하지 않다
* typeof 연산자 = 변수의 자료용어를 알 수 있음
const name ="Jin"; console.log(typeof 3);//number 숫자형 console.log(typeof name);//string 문자형 console.log(typeof true);//boolean 불린형 console.log(typeof 'xxx');//string 문자형 console.log(typeof null);//object 객체형 (null은 객체가 아님) console.log(typeof undefined);//undifined
반응형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교연산자 (0) 2023.03.27 연산자 (0) 2023.03.27 형변환(자동 형변환, 명시적 형변환) (0) 2023.03.27 alert() ,prompt(), confirm() (0) 2023.03.27 변수 (0) 2023.03.27